분류 전체보기17 수의 일치와 화법,간접화법 일치란 무엇일까요? 문장 내에서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어구끼리는 수, 인칭, 시제 등을 일치시키야 합니다.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시제의 일치가 있습니다. 주어가 단수면 단수 동사, 주어가 복수면 복수 동사를 씁니다. 일반적으로 주절의 시제와 종속절의 시제를 일치시킵니다. The girl goes to the concert. 그 소녀는 콘서트에 갑니다.(주어가 단수이면 단수 동사) The girl go to the concert. 그 소녀는 콘서트에 갑니다. (주어가 복수이면 복수 동사) I thought that she was right. 나는 그녀가 옳다고 생각했습니다. (주절과 종속절의 시제를 일치시킴) 화법이란 무엇일까요? 어떤 사람이 말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직접화법과 .. 2023. 2. 23. 가정법이란 1. 가정법이란 무엇일까요? 가정법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거나 앞으로도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에 대해 반대로 말하거나 상상하여 말할 때 사용하는 어법입니다. 보통 언제의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서 말하느냐에 따라 동사의 시제를 바꿔서 표현하며, 주어의 수나 인칭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 일정한 형태를 취합니다. 2. 가정법의 종류와 표현 가정법에는 동사의 시제로 표현하는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가 있으며, 대부분 if, I wish, as if 등과 함께 쓰입니다. *If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는 현재의 상황과 반대되는 내용이나 불가능한 것을 가정하거나 상상할 때 씁니다. 의 형태이며 '만약~라면,.. 일 텐데'의 의미입니다. 특히, be동사 과거형의 경우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상관없이 were를 사용합니다.. 2022. 12. 9. 동명사의 역할 1. 동명사는 어떤 역할을 할까요? 동명사는 동사원형+ing의 형태로 동사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문장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와 같은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주어 역할을 할 때는 ~하는 것이라고 해석되며, 보어 역할을 할 때는 ~하는 것이다고 해석되며, 목적어 역할을 할 때는 ~하는 것을 이라고 해석됩니다. 거리에서 노는 것은 위험합니다. Playing in the street is dangerous. (주어) 나의 취미는 우표를 수집하는 것이다. My hobby is collecting stamps. (보어) 그녀는 티비를 시청하는 것을 즐긴다. She enjoys watching TV. (목적어) 2. 동명사와 현재분사와 다른 점 동명사와 현재분사는 형태는 같지만 동명사는 명사 역할을 , 현재분사.. 2022. 11. 25. 조동사 1. 조동사의 역할과 종류 조동사란 동사를 도와주는 말입니다. 조동사의 종류에는 will(미래 시제), can(능력/허가/요청), may(약한 추측/허가), must(의무/강한 추측), had better(충고), should(의무)가 있습니다. 조동사 뒤에는 주어와 상관없이 동사원형이 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조동사의 부정문은 조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사용합니다. 조동사는 2개 이상을 같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어와 상관없이 조동사는 본래의 형태 그대로 사용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2. 조동사의 부정형과 축약형 will not=won't/ cannot=can't/ could not=couldn't/ may not=may not/ might not=mightn't/ would not=wou.. 2022. 8. 2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